교사는 전문가가 아니다 학교라는 모래성이 흔들리고 있다. 학교가 우리에게 무얼 해주었냐며, 그리고 무얼 해줄 수 있느냐며 비판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흔들리는 학교를 따라 교사 역시 휘청거리고 있다. 단단하게만 보였던 교사라는 정체성이, 교사는 도대체 무엇인가 라는 질문과 회의로 바뀌고 있다.. 나의 이야기/책·연수·강의 2016.10.07
영어를 못하는 게 우리 잘못일까? 교육이 넘치는 한국에서도 영어교육은 유난히 두드러진다. 영어 유치원이란 해괴한 시설부터 각종 영어 시험에 압박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취준생들은 영어가 우리 사회에서 얼마나 중요하게 여겨지는지를 보여준다. 그러나 10년 가까이 학교에서 영어를 배우지만 문장 하나 말하기도 어.. 나의 이야기/나를 표현하다 2016.08.30
붉은 보름 붉은 보름 노을을 삼킨 달이 산등성이를 오른다 긴 밤 한껏 부풀린 몸을 절벽까지 내민다 달아오른 대지가 식어도 그저 제 자리를 지킨다 자유롭게 침묵 깨는 늑대 하나 길벗으로 삼고서 나의 이야기/나를 표현하다 2016.07.19
죽음이 주는 힘 - 두려움과 불안을 넘어 일곱 살 조카가 어제 장례식장에 다녀왔다. 곡하는 모습이 기이하게 보였나 보다. 누나가 조카에게 죽음에 대해 설명해줬다. 이제 다시 그 사람을 볼 수 없다는 뜻이라고. 그 말이 무척이나 슬프게 다가온 모양이다. 그래서 죽음이 두려워졌고. 오늘 아버지 생신때 죽음이란 말이 나왔을 .. 나의 이야기/나를 표현하다 2016.05.20
봄비 봄비 겨울을 그리는 남자 봄을 노래하는 여자 눈보라를 말하지만 온기가 느껴지는 그의 글에 생명을 부르지만 아프다는 그녀의 목소리에 시간은 제 자리를 내어준다 그를 바라보며 그녀는 잎사귀가 떨어진 나무 위로 흩날리는 하얀 눈을 그녀를 껴안으며 그는 메마른 고목 사이에 자라.. 나의 이야기/나를 표현하다 2016.04.13
공교육은 사교육을 이길 수 없다 왜 우리나라에는 세계에서 유래를 찾기 힘든 규모의 사교육 시장이 만들어진 것일까. 짧게 요약하자면 희망과 불안, 책임의 오묘한 조합 때문이다. 교육을 통해 더 나은 사회경제적 지위를 가질 수 있다는 희망, 언제 낙오될지 모르는 데서 오는 불안, 자식의 삶에 대한 부모의 책임 의식... 나의 이야기/나를 표현하다 2016.02.12
인성? 시민성! 환상을 깨고자 무작정 떠나다 막연한 동경. 시민들이 서로를 도우며 살고 인간의 가치를 소중히 여기는 나라. 북유럽은 내게 그런 곳이었다. 다양한 색깔의 교육이 이루어지고 협동조합 등의 공동체가 생동하는 모습을 책과 영상으로 접하며 언젠가는 꼭 가보고 싶다고 생각하곤 했다. .. 나의 이야기/나를 표현하다 2016.02.01
지역아동센터에서의 빈곤아동 배제 현상 분석 : 이용률 감소와 관련하여 *학문의 초입 단계여서 인용 또는 서술에 있어 실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양해 부탁드립니다. PDF 파일로 보실 분은 바로 밑 파일을 눌러주세요 :) 지역아동센터에서의 빈곤아동 배제 현상 분석 - 이용률 감소와 관련하여.pdf 한국교원대학교 2015학년도 2학기 교육사회전공 <교육과 불평등&.. 나의 이야기/나를 표현하다 2016.01.16
부모도 외롭다 전화기를 통해 들려오는 아버지의 목소리가 평소답지 않게 밝았다. 무슨 좋은 일이 있냐고 여쭤보니 아들이 매일 전화해줘서 그렇다고 하셨다. 그러고보니 새해 들어 운동 갈 때마다 습관처럼 연락드렸다. 그게 새삼 반가우신 모양이다. 여러 지인들의 추천에 '응답하라 1988'이라는 드라.. 나의 이야기/일상의 변화 2016.01.12
각자의 자리에서 떠날 때가 되니 비가 내리기 시작했다. 다행인지 불행인지 제주에 머문 2주 동안 내내 날씨가 맑아 쉬지 않고 부모님 일손을 도와드릴 수 있었다. 덕분에 감귤 수확을 모두 마칠 수 있어 돌아오는 발걸음이 가뿐했다. 찾아갔을 때 노랗던 과수원이 푸른 입사귀를 흔들며 나를 배웅했다. 이.. 나의 이야기/일상의 변화 2016.0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