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EC에서 생각을 나누다 IDEC 에는 참가자가 자유롭게 워크샵을 열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어요. 오픈 스페이스라고 하는데요, 참여자가 원하는 주제로 워크샵을 열면 그 주제에 관심있는 사람들이 모여 함께하는 것이지요. 워크샵이라고 해서 어렵게 생각할 필요는 없어요. 여기서 열렸던 주제를 예로 들어보면 .. 지역 이야기/교육축제 2014.07.31
IDEC에서 교육축제를 홍보하다 어제부터 시간이 날 때마다 교육축제 홍보를 하고 있어요. 아이패드를 이용하는 아이디어 덕에 많은 분들께서 관심을 보이시네요. IDEC의 오픈 스페이스 발표까지 D-1. 함께 꿈꿀 수 있는 사람을 기다립니다. 두근두근. 지역 이야기/교육축제 2014.07.30
대안교육연대를 만나다 어제는 밤이 깊도록 대안교육연대 분들과 이야기를 나눴어요. 교육축제에 대해 말씀드리니 자신들도 공교육과의 접점을 늘리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중이었다며 기뻐하셨습니다. 교육축제가 의도대로 진행될 수 있도록 여러 면으로 도와주시겠다고 하셨어요. 교육축제의 두 번.. 지역 이야기/교육축제 2014.07.28
교육축제 제안을 하다 - 교컴수련회 '교실 밖 교사 커뮤니티' 에서 진행한 여름수련회에서 교육축제를 주제로 15분간 발표를 하게 되었습니다. 짧은 시간 동안 교육축제라는 행사를 구상하게 된 과정에 대해 말씀드렸어요. 쟁쟁한 선생님들 앞이라 긴장한 나머지 발표 수준이... ㅠㅠ 그래도 선생님들께서 끝까지 잘 들어주.. 지역 이야기/교육축제 2014.07.27
세 번째 모임 이번 모임은 무척이나 분위기가 화기애애 했지요. 그러면서도 힘 있고 창의적인 이야기가 많이 나왔답니다. ^^ 첫 번째로는 함께 IDEC(세계민주교육한마당) 홍보영상을 보고 함께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다들 새로운 형식의 교육행사에 흥미를 보였지요. * IDEC * 오픈스페이스(부스) 운영 형.. 지역 이야기/교육축제 2014.07.19
두 번째 모임 어제 모임 회의록입니다. 결론을 정리하면 1. 축제 기획, 진행을 경험하신 분을 모셔 이야기를 듣거나 계획안, 노하우 등을 얻어온다. 2. 우리와 뜻을 함께할 단체나 사람을 섭외하고 연대한다. 3. 교육 종사자, 학부모, 학생, 시민단체 등의 욕구를 파악한다. <<우리들의 상상력을 마음.. 지역 이야기/교육축제 2014.06.21
첫 모임을 마치고 일면식도 없는 사람들이 모여 하나의 이상을 향해 힘을 모으는 것. 재밌는 사건을 만들어보자는 말에 끌려, 교육계에 소통의 장을 마련해보자는 뜻에 끌려 한 자리에 모여 자신의 시간과 노력을 쏟아부었다. 끊임없이 웃음이 넘치기도 했다가 무겁고 진지한 이야기가 오가기도 했지만 함.. 지역 이야기/교육축제 2014.06.08
우리 재밌는 사건(!) 하나 만들어봐요 우리 재밌는 사건(!) 하나 만들어봐요. 교육에 관심이 있는공교육 교사, 교수, 대안교육 교사, 시민 모두가 모여재미있는 축제를 여는 거예요. 이 축제에서 우리는 지금까지의 고루하고 지루한강의, 연설 등으로 이루어진 교육 행사를 탈피하는 거예요. 다양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모아모.. 지역 이야기/교육축제 2014.05.18